5.1.1 파티션 테이블이란 ?
 
- Partitioning(분할)은 용량이 큰(지속적으로 증가하는) Table들을 Partition이라는 보다 작은 단위로 나눔으로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하고자 하는 개념 입니다.
 
- 각 Partition 은 별개의 Segment에 저장 되어 개별적으로 관리 가능하며, 다른 partition 에 독립적이기 때문에 더 나은 성능을 가져 옵니다.
 
  - 각 Partition은 열(Column)과 제약조건에 대한 정의를 공유하지만 별도의 SEGMENT로 저장되어 물리적인 속성인 PCTFREE, PCTUSED, TABLESPACE 및 STORAGE PARAMETER등은 다르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 Partition Table과 Index 는 VLDB(Very Large Databases) 즉, Data Warehouse(DW)시스템과 의사결정 시스템의 경우 성능과 관리에 많은 향상을 가져 옵니다.
 
  - Partition의 종류에는 Range partition, Hash partition, List partition, Composite partition이 있습니다.
 

 
5.1.2 파티션 테이블 장점
 
  - 데이터 액세스시 범위를 액세스 범위를 줄여 Performance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여러 분할 영역으로 관리되어 데이터 훼손 가능성이 감소 되고, I/O 성능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습니다.

  - 각 분할 영역을 독립적으로 백업하고 복구 할 수 있습니다.







  ================================================
    * 데이터베이스 정보공유 커뮤니티 oracleclub.com
    * 강좌 작성자 : 김정식 (oramaster _at_ naver.com)
  ================================================

'DB > Oracle 10g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 Partition  (0) 2009.10.31
Range Partition  (0) 2009.10.31
(10gR2)Full UNDO tablespace  (0) 2009.10.31
Temporary Tablespace Group  (0) 2009.10.31
강좌 리스트  (0) 2009.10.29
Posted by 야동우
,

PURPOSE


10gR2 에서 UNDO tablespace 을 NO AUTOEXTEND로 생성한 경우 ,
transaction 이 실행중인 database 에서는 UNDO tablespace 가
FULL인 현상을 보게 됩니다.
이는 10gR2 에서 max retention 을 보장하는 undo retention 의
메카니즘이 소개되어 autoextend off 인 경우의 UNDO tablespace
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dba_undo_extents 에서 많은 UNEXPIRED undo segment 가 보이는 것이
확인되고 UNDO tablespace 가 100% full 인것처럼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ORA-1555 나 ORA-30036 에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Explanation


다음과 같이 많은 UNEXPIRED undo segment 가 조회됩니다.

SQL> select count(status) from dba_undo_extents where status = 'UNEXPIRED';

COUNT(STATUS)

463

SQL> select count(status) from dba_undo_extents where status = 'EXPIRED';

COUNT(STATUS)

20

SQL> select count(status) from dba_undo_extents where status = 'ACTIVE';

COUNT(STATUS)

21

dba_free_space 을 조회 결과 UNDO tablespace 의 free space 가 존재합니다.

SUM(BYTES)/(1024*1024) TABLESPACE_NAME


---------------------
3 UNDOTBS1
58.4375 SYSAUX
3 USERS3
4.3125 SYSTEM
103.9375 USERS04

Transaction 이 실행되면 UNDO tablespace 에 free space 가 조회되지 않는
FULL 인것처럼 보입니다.

SUM(BYTES)/(1024*1024) TABLESPACE_NAME
----------------
58.25 SYSAUX
98 USERS3
4.3125 SYSTEM
87.9375 USERS04


~~~~~~~~~~~~~~~~~~~~~~~~~~~~~~~~~~~~~~~~~~~~~~~~~~~~~~~~~~~~~~~~~~~~~~~~~
다음은 AUM 에서의 Undo Block 할당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urrent extent 에 free block 이 있으면 다음 free block 이
할당됩니다.
2. 그러나, free block 이 없으면, next extent 가 expired 되었다면 next extent 을
warp 한후 그 next extent 의 처음 block 을 return 합니다.
3. 만약 next extent 가 expired 되지 않았다면 UNDO tablespace 로부터 먼저
space 을 찾습니다. 이때 free extent 가 존재한다면 이를 transaction table 에
할당하고 해당 next extent 의 첫번째 block 을 return 합니다.
4. 만약 UNDO tablespace 에 free extent 가 없다면 off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steal 합니다.
off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extent 을 deallocate 한후 이를
current transaction table 에 add한후 그 add 한 extent 의 첫번째 free block 을
return 합니다.
5. off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찾을수 없으면 , online 되어 있는
transaction table 에서 steal 합니다. off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extent 을
deallocate 한후 이를 current transaction table 에 add한후 , 그 add 한 extent 의
첫번째 free block 을 return 합니다.
6. 1번~5번 까지 하여도 free block 을 얻지 못하면 이제 UNDO tablespace 의 file 을
extend 합니다.
file 이 extend 된다면 이후 current transaction table 에 extent 을 add 한후 ,
그 extent 의 첫번째 free block 을 return 합니다.
7. 6번 에서 UNDO tablespace 의 file 을 extend 하지 못했다면 , 자기의 transaction table
에서 unexpired 된 extent 을 재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때 모든 extent 가 busy 하다면
즉 모두 uncommitted 된 정보라면 8번으로 갑니다. 아니라면 wrap 하여 unexpired 된
extent 을 사용합니다.
8. off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unexpired 된 extent 을 steal 합니다. 이것이
실패한다면 online 된 transaction table 에서 unexpired 된 extent 을 steal 합니다.
9. 8 번까지 수행하고도 free block 을 얻지 못하면 이때서야 오라클에서는
"ORA-30036 unable to extend segment by %s in undo tablespace '%s' " 에러를
뿌리며 실패합니다.

~~~~~~~~~~~~~~~~~~~~~~~~~~~~~~~~~~~~~~~~~~~~~~~~~~~~~~~~~~~~~~~~~~~~~~~~~

fixed size UNDO tablespace 라 함은 autoextend 가 off 라 datafile 을 자동으로
더 이상 확장할 수 없음을 말합니다.
autoextend 가 off 인 경우 10.2 부터는 max retention 이 36 시간 입니다.
undo_retention 을 900 초(15 분) 으로 설정을 한다고 해도 10gR2 에서는
max retention 이 36 시간이라 이에 해당하는 undo extent 을 UNEXPIRED 으로 만듭니다.
그러나 이것이 가용한 undo extent 가 없다는 것이 아니고 , transaction 이 실행되게 되면
UNEXPIRED undo segment 을 재사용하게 됩니다.

References


< Note 413732.1 - Full UNDO Tablespace In 10gR2 >


Written by knam in Forums.Oracle.com

'DB > Oracle 10g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 Partition  (0) 2009.10.31
Range Partition  (0) 2009.10.31
Partition Table 이란?  (0) 2009.10.31
Temporary Tablespace Group  (0) 2009.10.31
강좌 리스트  (0) 2009.10.29
Posted by 야동우
,

Temporary Tablespace Group
 - Oracle 10g 에서는 Temporary Tablespaces 에 대해 Group 을 지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 하나의 Temporary Tablespace Group 은 적어도 하나의 Tablespace 가 존재해야 한다.
 - Temporary Tablespace 와 Group Name은 동일하게 지정할 수 없다.
 - Temporary Tablespace Group 은  한 Group 에서 다른 Group 으로 Move 가 가능하고 Group 내에서 삭제 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add 가 가능하다.


Temporary Tablespace Group의 장점
 - Sort 결과를 유지하여 공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 동시에 여러 개의 Session Connect시에도 서로 다른 Temporary Tablespaces 를 사용함으로써 Temporary Tablespaces 의 사용을 분산 시킬 수 있다.
 - Parallel Operation 시에도 Multiple Temporary Tablespaces 사용이 가능하다.


Temporary Tablespace Group의 생성

-- temp1 temporary tablespace 를 group1에 생성.  group1이 없으면 자동으로 생성
CREATE TEMPORARY TABLESPACE temp1 TEMPFILE ’tmp1.f’
SIZE 100M TABLESPACE GROUP group1;


-- temp2 temporary tablespace 를 group2에 생성.  group2가 없으면 자동으로 생성
CREATE TEMPORARY TABLESPACE temp2 TEMPFILE ’tmp2.f’
SIZE 200M TABLESPACE GROUP group2;


-- temp3 temporary tablespace 생성.  어떤 그룹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CREATE TEMPORARY TABLESPACE temp3 TEMPFILE ’tmp3.f’
SIZE 50M TABLESPACE GROUP ’’;

위 문장은 아래 문장과 동일함
=> CREATE TEMPORARY TABLESPACE temp3 TEMPFILE ’tmp3.f’ SIZE 50M;


Temporary Tablespace Group의 변경

-- temp3 의 그룹을 group2로 변경.   group2가 없으면 자동으로 생성
ALTER TABLESPACE temp3 TABLESPACE GROUP group2;


-- temp2 를 그룹에서 제거
ALTER TABLESPACE temp2 TABLESPACE GROUP ’’;


-- temp1 의 그룹을 group2로 변경
ALTER TABLESPACE temp1 TABLESPACE GROUP group2;


-- Temporary Tablespace group2그룹을 디폴트로 설정
ALTER DATABASE DEFAULT TEMPORARY TABLESPACE group2;


-- 사용자 생성지 지정
CREATE USER hr IDENTIFIED BY hr DEFAULT
TABLESPACE TS1 TEMPORARY TABLESPACE group2;


-- ALTER 명령으로 사용자에게 지정
ALTER USER hr TEMPORARY TABLESPACE group2;




  ================================================
    * 데이터베이스 정보공유 커뮤니티 oracleclub.com
    * 강좌 작성자 : 김정식 (oramaster _at_ naver.com)
  ================================================

'DB > Oracle 10g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sh Partition  (0) 2009.10.31
Range Partition  (0) 2009.10.31
Partition Table 이란?  (0) 2009.10.31
(10gR2)Full UNDO tablespace  (0) 2009.10.31
강좌 리스트  (0) 2009.10.29
Posted by 야동우
,

  템플릿(Template) 은 사이트의 구성 양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이력서, 자기 소개서, 택배 송장 등에는 야식이 정해져 있습니다. 개성에 따라 독특한 이력서를 디자인할 수도 있지만 이보다는 기존의 이력서 양식을 쓰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블로그 사이트를 디자인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블로거가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메뉴 위치를 지정할 필요 없이 이미 만들어진 디자인 양식을 골라 쓰면 됩니다. 이처럼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미리 만들어 놓은 디자인이나 구성 형식템플릿 또는 스킨(Skin)이라고 합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위젯(widget)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작은 기계 또는 전기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작은 프로그램입니다. 데스트톱과 웹 환경에서 위젯은 '내장된 형태로 독립 실행되는 작은 어플리케이션'입니다. 또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콘텐츠와 기능을 외부로 유통시키기 위한 매채입니다.
  블로그에서는 원래 블로그 프로그램에 없는 기능을 추가하고 싶을 때 해당 기능이 있는 위젯을 가져다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계, 날씨 정보, 오늘의 환율 정보 등을 블로그에 표시하고 싶을 때 관련 위젯을 가져와 블로그에 달 수 있습니다.
  플로그인과 다른 점은 블로그 프로그램과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테터툴즈용 플러그인은 테터툴즈에서만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이며, 테터툴즈가 깔린 호스팅 서버에 소스파일 형태로 추가되지만, 위젯은 블로그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빌려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자신의 호스팅 서버에 깔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꼬리표(Tag)블로거가 쓴 글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키워드를 따로 표시해 두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여행에 관한 글을 쓸 때 '여행'을 꼬리표로 붙입니다. 그러면 꼬리표 모임에서 '여행'을 선택했을 때 그 꼬리표가 붙은 글들만 따로 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 검색창에서 '여행' 을 입력하면 인도 여행 글임에도 불구하고 본문에 여행이라는 단어가 없다는 이유로 검색하지 못하거나, 여행과 상관없는 문서인데도 본문에 여행이라는 단어가 들어갔다는 이유로 검색 결과에 표시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꼬리표는 검색과 분류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플러그인블로그 프로그램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작은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테터툴즈나 워드프레스, 무버블타입처럼 설치형 블로그 프로그램에서는 기본적으로 플러그인을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개발되어 공개되고 있습니다. 기본 기능에는 없던 접속자 통계 보기, 방문자 IP 보기, 스탬 덧글 예방하기, 통계를 그래프로 보기, 사진 앨범, 자동으로 배경 이미지 바꾸기, 검색어 하이라이트로 보여주기, 기념을 표시하기, 뉴스 실시간 보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아카이브(archive)과거 문서를 뜻합니다. 블로거가 기록한 글은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 문서로 바뀝니다. 메뉴 방식의 홈페이지에서는 시간보다는 주제를 기준으로 문서를 구별합니다. 'C언어 문서' '자바 문서' 등으로 구별합니다. 나중에 작성한 문서를 차례에 맞게 중간에 끼워 넣기도 합니다.
  반면 블로그는 시간 순으로 문서를 작성하다 보니 시간이 중요한 분류 기준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문서를 연도별, 월별, 일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달력이나 목록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는 블로그 사이트에 달력이 있거나 아카이브 메뉴가 위치하는 이유는 블로그가 시간의 흐름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꼭 아카이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카이브 문서를 보관할 것인지는 블로그 운영자가 선택할 사항입니다. 예를 들어, 한 달 이전의 아카이브를 제공하지 않는 것을 운영 방침으로 정하는 블로그 사이트들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개의 블로거들은 아카이브를 제공합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1) RSS는 웹사이트끼리 자료를 주고받기 위한 규격입니다.
  RSS는 웹사이트의 결합(신디케이팅, 배급망 만들기)과 자료 구축, 교환을 위해 필요한 규격으로서 공개 프로젝트인 아톰 프로젝트(구 에코 프로젝트)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현재 아톰과 RSS 2.0이 업계 표준을 둘러싸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입니다.
  RSS는 뉴스, 블로그 등 자주 업데이트해야 하는 사이트를 위한 XML 기반의 포맷으로 자료 교환을 위한 규격입니다. 쉽게 말해 웹사이트끼리 서로 자료를 주고받기 위한 규격이라고 보면 됩니다. RSS'RDF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 'Rish Site Summary' 등의 약자입니다. 해석이 다양한 이유는 다양한 규격의 RSS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2) RSS 파일을 이용해 사이트의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RSS는 XML 서비스 중에서 가장 성공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다소 복잡한 원리에도 불구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 표준으로 자리 잡은 상태입니다. 요즘에는 파이선(Python)과 같은 언어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데 RSS에 적합한 도구라는 것이 이유입니다.
  RSS 규격에 따라 만든 RSS 파일은 특정 사이트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사이트의 운영자는 A라는 사이트의 각종 정보(갱신된 글의 제목, 링크, 주요내용 등)를 RSS 파일을 통해 수집한 다음 자신이 운영하는 B사이트에 올려놓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B사이트 방문자는 A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A사이트의 최신 내용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RSS 역시 트랙백만큼이나 활용도가 큽니다. A뉴스 사이트를 운영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과거의 방식으로는 B, C, D뉴스 사이트의 기사를 퍼 오는 수고를 하면서 직접 자신의 사이트에 글을 올려야 했습니다. 좀 더 쉬운 방법으로는 B, C, D 사이트의 최신 뉴스 제목에 링크를 걸어 자신의 사이트에 링크를 올리는 것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뉴스 제목만 볼 수 있고, 그나마 수동으로 작성해 링크를 걸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이 사이트들이 RSS를 지원한다면, A사이트 운영자는 B, C, D 사이트의 RSS 파일을 읽어서 자동으로 최신 뉴스와 링크, 요약 발췌 내용을 올려놓을 수 있습니다. 즉, 손도 대지 않고 거대한 뉴스 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각종 영화 사이트의 RSS 파일을 읽어서 최신 영화 소식을 전하는 종합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RSS는 콘텐츠 수집이나 콘텐츠 신디케이트(Syndicate, 콘텐츠 배급망)을 구성하기에 매우 좋은 도구입니다.

3) 개인도 RSS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SS는 사이트끼리만 사용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개인 사용자도 RSS 구독(Reader) 프로그램을 사용해 각 사이트의 콘텐츠 정보를 쉽게 구독할 수 있습니다. 즉, B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고 RSS 구독기를 이용해 B사이트의 최신 콘텐츠가 무엇인지 자신의 PC에서 확인하는 겁니다. 개인 사용자는 이렇게 수집한 RSS 정보를 통해 관심이 가는 콘텐츠만 골라 보면 됩니다. 예전처럼 PC에 직접 설치하는 설치형 RSS 구독 프로그램을 사용했지만 요즘은 한RSS(www.hanrss.com) 와 같은 웹구독 사이트를 이용합니다.

4) OPML로 한번에 RSS 주소 등록 및 이전을 할 수 있습니다.
  RSS는 주소를 하나씩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OPML을 이용하면 한 번 등록으로 다른 구독기 프로그램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OPML'Outline Processor Markup Language(개요처리언어)' 의 줄임말로 RSS 형식처럼 인터넷 문서 수집을 위한 문서 형식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OPML이 RSS와 다른 점은 블로그의 채널그룹(channel group = blog roll)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여러 개의 블로그 사이트 RSS 목록을 하나의 문서 파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이 OPML입니다.

5) RSS와 XML 아이콘은 RSS를 지원한다는 뜻입니다.
  블로그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RSS 아이콘, 'Syndicate this site' 또는 XML 아이콘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RSS 파일의 링크를 표시하겠다는 것입니다. 즉, 이 사이트에서 RSS 파일을 제공한다는 뜻입니다. 이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RSS 파일은 보통 index.xml, rss.xml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하트 모양의 아이콘을 함께 붙이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RSS 아이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6) RSS 공급을 피드라고 부릅니다.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의 주요 글들을 RSS을 통해 공급하는 것RSS 피드(공급) 서비스라고 합니다. RSS 피드 프로그램은 이렇게 RSS 기사를 공급하도록 돕는 기능을 합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

1) 트랙백은 자신의 블로그 게시물을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트랙백(먼글)은 초기 블로그에는 없던 기능으로 자기 블로그의 게시물을 남의 게시물에 답글처럼 남기는 기능입니다. 즉, 해당 게시물에 대해 원격으로 덧글을 다는 것입니다. 트랙백은 다른 블로그의 게시물에 자신도 관련된 글을 썼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행위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A사이트의 블로거가 '한글날'에 대한 글을 올렸을 경우 B사이트의 블로거는 해당 글에 대한 의견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릴 수 있습니다.

⊙ 트랙백 과정
  1. A가 자신의 블로그에 '한글날'에 대한 게시물을 올렸습니다.
  2. B가 A의 게시물을 보고 자신의 블로그에 '한글날과 공휴일'이라는 게시물을 올립니다.
  3. B는 A의 '한글날' 게시물에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을 보냅니다.
  4. A는 자기가 쓴 '한글날' 게시물 밑에 댓글처럼 달린 '한글날과 공휴일' 이라는 트랙백을 클릭해 B의 블로그를 방문하고 '한글날과 공휴일' 게시물을 읽습니다.
  트랙백을 걸면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이라고 부르는 작은 메시지가 상대편에게 전송됩니다. 물론 프로그램이 알아서 자동으로 보냅니다. 트랙백을 건 사람은 원본 게시물 작성자에게 트랙백 핑을 보내 자신의 사이트에 관련 게시물을 달았다는 사실을 알리는 겁니다.
  핑(Ping)은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입니다. 인터넷 초기부터 사용한 도구 중의 하나로, 호스터 컴퓨터에 변경 요구를 보내고 목적지까지의 응답 도달성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2) 트랙백의 장단점
  트랙백 형태로 글을 올리면 기존의 덧글보다 편리한 점이 많습니다. 블로그 이전의 기존 게시판에는 댓글이나 덧글 기능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몇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1. 긴 글을 작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2. 운영자의 기능 제한으로 대개는 HTML 태그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텍스트로만 된 글을 올려야 합니다.
  3. 자신의 홈페이지에도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는 해당 게시물에 덧글을 달고 자신의 홈페이지에도 기록해야 하는 이중 수고를 해야 합니다.
  4. 자신이 작성한 덧글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얻기가 힘듭니다. 덧글에 대한 덧글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는 어렵습니다.
  5. 작성자의 홈페이지로 방문을 유도하기 어렵습니다.

  트랙백은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새롭게 작성하는 것이므로 기존 덧글이 지닌 단점을 대부분 보완해 줍니다. 1~2줄의 짧은 텍스트가 아니라 사진이나 동영상이 들어간 HTML 문서로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자신이 트랙백으로 쓴 게시물은 또 다른 블로그의 트랙백 대상이 되거나 링크의 대상이 될 것입니다. 이는 과거의 게시판에서는 제공하지 않았던 기능입니다.
  트랙백의 한글 용어는 아직 통일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먼글(먼거리 댓글) 외에도 '엮인글, 이어말하기, 관련글, 걸린글, 되오름글' 등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1) 트랙백은 콘텐츠 수집의 수단
  트랙백은 여러가지 면에서는 혁신적인 기능입니다. 트랙백을 건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에 대한 글을 올렸다고 합시다. 이 글이 좋은 글이라면 댓글이 수십개 이상 올라오겠지만 덧글을 쓴 사람과 연결되기는 어렵습니다. 반면 트랙백의 형태로 글을 쓴다면 다음과 같은 점이 달라집니다.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글에 관심 있는 블로거 그룹이 만들어지며 해당 블로거가 운영하는 블로그 사이트를 클릭 한 번으로 방문할 수 있습니다. 즉,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에 관련된 포스팅을 함으로써 그 영화와 관련된 글이나 그룹이 트랙백을 통해 수집되는 겁니다. 따라서 콘텐츠 수집(Content Aggregation)이 매우 용이해 집니다. 하나의 글이 게시판에 머물지 않고 관련 블로그 사이트를 취합하는 기능을 하는 셈입니다.

(2) 푸쉬 형태이므로 수정 불가
  트랙백은 한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집니다. B블로거가 A의 게시물에 트랙백을 걸었을 경우에는 A의 게시물에 요약문이 덧글처럼 달리는데, 이 요약문은 B블로거 자신도 수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현재 국내외 블로그 툴에 적용된 트랙백이 대부분 푸쉬(Push) 방식이기 떄문에 이미 밀어낸 글에 대해서는 다시 수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트랙백을 사용할 때는 자신이 쓴 글의 요약문(발췌문)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3) 핑백은 자동링크 알림 기능
  핑백(Ping Back)은 트랙백과 비슷하지만 자동으로 표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트랙백블로거 A가 쓴 a글을 함께 읽으면 좋을 내 글 b를 적극적으로 알릴 때 사용하지만, 핑백내가 쓴 글에 a글을 인용하면서 링크를 걸었을 때 이 링크 사실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하면 링크를 걸기만 해도 자동으로 링크 건 글에 트랙백을 날려주는 것입니다. 보통 핑백은 링크가 걸린 a글에 덧글 형식으로 추가됩니다. 따라서 a글의 작성자인 A블로거는 자신의 글에 더해진 핑백 덧글을 통해 자기 글을 인용한 b글의 존재를 알 수 있습니다.
  핑백은 링크를 걸기만 해도 알려지기 때문에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나 혼자서 기록 보관이나 북마크 대용으로 링크를 걸어두거나 안 좋은 감상평을 쓰면서 인용한 경우에는 트랙백을 걸고 싶지 않아도 링크 걸린 글에 자동으로 핑백 여부를 알려주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핑백이 걸리지 않기를 바라는 링크 인용을 할 때는 핑백 옵션을 끄고 글을 작성해야 합니다.


출처 :

블로그 교과서 상세보기

Posted by 야동우
,